
중국 속담에 ‘우물물은 강물을 범하지 않는다(井水不犯河水)’는 말이 있는데, 각자의 영역이 있어서 서로 침범하지 못한다는 말이다. 사실 여기에는 또 하나의 이치가 담겨 있다. 바로 일체는 다 생명이 있고 그것 고유의 특성이 있다는 뜻이다. 현대과학에서는 물은 단지 일부 미네랄 함량만 다를 뿐 별다른 구분이 없다고 말한다. 그러나 옛사람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다. 다음 일화를 보자.
당나라 원화(元和) 9년 봄, 막 과거에 붙은 장우신은 같이 합격한 사람들과 천복사(薦福寺)에서 모이기로 약속했다. 장우신과 이덕유가 먼저 도착하여 서쪽 행랑의 현감 스님 방에서 쉬고 있었다. 때마침 남방 지역에서 온 스님이 방으로 들어와 포대를 내려놓고 휴식했다. 포대 속에는 책 몇 권이 있었다. 장우신은 손이 가는 대로 한 권을 꺼내 읽었는데 책의 끝에 《저수기(煮水記-물을 끓이는 기록)》라는 것이 있었다.
책 속의 이야기는 이러했다. 당태종 때 이계경을 호주(湖州) 자사로 봉했다. 이계경이 부임하러 가는 도중 유양(維揚)을 들러 그곳에 은거하던 육우[陸羽, 다경(茶經)의 저자로 차 문화의 기틀을 다진 인물]를 우연히 만났다. 이계경은 육우의 명성을 익히 알고 있었기에 그를 만나자 정말 옛 친구를 만난 듯이 기뻐하며 함께 군성(郡城)으로 향했다.
양자역(揚子驛)에 도달하자 거의 식사 때가 되었고, 이계경이 말했다.
“육 선생은 다도로 천하에 명성이 있는데 양자강 남령수(南零水)는 보통의 물보다 특별하다고 했소. 오늘 마침 그대의 다도와 이곳의 좋은 물을 만났으니 가히 천년에 한 번 만날 수 있는 기회라 할 수 있으니 어찌 기회를 그냥 지나칠 수 있겠소?”
그리고는 충직한 군사를 뽑아 물통을 가지고 작은 배를 타고 남령 깊은 곳에 가서 물을 길어오게 시켰다. 육우는 다구(茶具)를 닦으며 그곳에서 기다렸다. 오래지 않아 물이 도착했다. 그는 바가지로 물을 뜨면서 말했다.
“장강의 물은 맞는데 남령의 물이 아니라 마치 강변의 물처럼 보이는군.”
그러자 물을 떠 온 군사가 말했다.
“제가 물 깊은 곳까지 배를 몰았고 본 사람도 백 명이 넘는데 어찌 감히 거짓말로 속일 수 있겠습니까?”
육우는 아무 말도 하지 않고 물을 대야에 부었다. 반쯤 쏟고 나서는 급히 멈추더니 또 바가지로 물을 뜨며 말했다.
“여기부터 아래에 있는 것이야말로 진짜 남령의 물이로군.”
그러자 물을 떠온 군사가 깜짝 놀라 무릎을 꿇고는 이실직고했다.
“제가 남령에서 물통을 안고 강 언덕에 도착했는데 그사이에 배가 흔들려서 물이 절반 정도 쏟아졌습니다. 물이 부족할까 두려워 강변의 물을 떠서 물을 가득 채웠습니다. 선생님의 감별 능력은 정말 신기합니다, 누가 당신을 속일 수 있겠습니까?”
이계경도 매우 놀라 칭찬했고 그를 따르던 수십 명도 다 놀랐다.
이계경이 육우에게 말했다.
“기왕 그렇다면 당신이 경험한 곳 중에서 어느 곳의 물이 좋고 나쁜지 다 판단할 수 있겠군요.”
그러자 그가 대답했다.
“초(楚) 지역의 물이 최고이고 진(晉) 지역의 물이 최하입니다.”
세상 만물은 사실 모두 생명의 일면이 있고 또한 자신만의 특성이 존재한다. 남령수인지 아닌지 구별하는 것은 아마 어렵지 않았을 수 있겠지만, 강변의 물을 구별해 내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특히 두 곳의 물을 함께 혼합해도 섞이지 않았는데 이는 아마도 생명 일면의 표현일 것이다. 이것이 ‘우물물은 강물을 범하지 않는다’는 속담과 같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서로 다른 생명의 일부분이기 때문이다.
출처/ 정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