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자의 삶, 북송 최고 문호 소동파

중국에는 ‘사람의 운명을 하늘이 정한다(人的命, 天註定)’는 속담이 있다. 사람들은 운명을 얼마든지 개척하고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미처 생각하지 못한 운명의 격류에 휘말려 하늘을 원망하기도 한다.
그래서 예부터 “하늘을 공경하고 운명을 알며 도에 따라 행한다(敬天知命, 循道而行)”는 말이 있었고, 역사적으로 이 가르침을 몸소 실천한 현자들이 적지 않았다. 그들은 운명이 방치한 고난 속에서 반본귀진(返本歸眞)하는 진리를 깨달았다. 대표적인 이가 소식(蘇軾, 1037~1101년)이다. 당송 시대의 대표적인 문인으로 아버지인 소순, 동생인 소철과 함께 당송팔대가로 꼽힌다.
소식은 자가 자담(子瞻), 호는 동파(東坡)로 한림학사를 지냈고, 관직이 예부상서에 이르렀다. 그는 겨우 스무 살에 388명 중 수석으로 진사에 합격했다. 황제는 그를 재상 재목이라고 했다. 그는 늘 직언으로 간언했고 마음이 굳세고 진취적이었다. 그의 말을 빌리자면 악한 것을 원수처럼 미워했고 악한 것이 보이면 ‘파리가 입에 들어가면 뱉어내듯’ 반드시 바른 소리를 해야 했다.
네 사람이 같은 꿈을 꾸다
1079년 소식이 조정을 모함하는 글을 썼다는 누명을 쓴 ‘오대시(烏臺詩) 사건’이 발생했다. 그는 체포돼 4개월 넘게 투옥됐다. 실은 왕안석이 추진한 신법에 반대해 모함당했다는 것이 중론이다. 당시 함께 쫓겨난 이가 자치통감을 쓴 사마광(관련 내용 7면)이다.
사형을 면한 소식은 황주로 귀양을 갔다. 균주(筠州)에 도착하기 직전에 동생 소철(蘇轍)이 꿈을 꾸었는데 소철과 운암 스님과 성수사의 주지 스님이 오계 스님을 만나기 위해 성을 나가는 꿈이었다. 다음날 소철이 꿈 이야기하자 운암 스님과 주지 스님도 같은 꿈을 꾸었다고 했다. 소철이 박장대소하며 말했다. “세상에 세 사람이 같은 꿈을 꾸는 일이 있다니 정말 괴상하구나!”
소식을 만나 꿈 이야기를 하자 소식이 말했다. “내가 여덟아홉 살 때 출가인이 되어 섬우 지역을 오가는 꿈을 꾸었다. 어머니가 임신했을 때는 꿈에 한 스님이 찾아와 투숙했는데 스님의 한쪽 눈이 멀었다고 했다.” 운암 스님이 말했다. “오계 스님이 바로 섬우 사람이고 한쪽 눈이 멀었다. 그는 노년에 고안에서 중생을 교화했고 훗날 대우에서 원적했는데, 벌써 50년이 됐다.”
그해에 소식이 마침 49세였다. 그의 시 ‘남화사(南華寺)’에는 이런 구절이 있다. “나는 본시 수행인으로 삼세에 정련(精煉)을 쌓았는데, 중간에 일념의 실수로 이렇게 백 년의 견책을 받는구나.”
과거에 불가(佛家) 수련을 할 때는 흔히 여러 생애에 걸쳐 수행했고 일생에 이루지 못하면 다음 생에 이어서 수련했는데 역사상 그런 경우가 아주 많았다. 소식은 황주에 있던 기간에 자신의 운명을 자세히 회상했고, 불법(佛法) 연구에 몰두하기 시작했다.
고생 속에서 즐거움을 찾다
소식은 청렴한 관리였고 모아둔 돈이 없었다. 황주에 도착하니 온 가족의 먹을거리부터 문제였다. 처음에는 몇 푼 안 되는 돈을 매달 30분의 1로 나누어 들보에 걸어 놓은 다음, 매일 아침 족자걸이 막대기로 한 꾸러미를 내려 그날 생활비로 쓰고 막대기를 숨겼다. 이렇게 해도 먹고 살기 어려워 가시덤불로 뒤덮인 황무지를 개간했다. 갖은 고생 끝에 농지 50무(약 3700평)를 일궈냈다. 이때 농사짓던 땅을 동쪽 언덕이라는 뜻의 ‘동파’로 불렀고 자신의 호로 삼았다.
고된 노동 외에도 소식은 조각배와 짚신에 의지해 산천을 방랑했다. 그는 ‘동파지림(東坡志林)’ 중 ‘인생에는 정해진 몫이 있다.’ 편에 이렇게 썼다. “인생에는 자연히 정해진 몫이 있으니 배를 불리는 일인들 부귀공명처럼 쉽게 얻을 수 있으랴?” 인생을 하늘이 정한 것이라면 배불리 먹을 수 있는 이 일이 부귀와 공명처럼 쉽게 얻을 수 있는 게 아니지 않은가?
소식은 늦은 밤 강가를 거닐며 “이 몸이 내 것 아님에 장탄식하노니 잡다한 일 언제야 잊을쏘냐.”라고 읊었다. 이 이야기는 ‘장자(莊子)’의 “너의 몸은 너의 것이 아니다.”, “너의 몸을 온전히 하고 너의 삶을 견지하며 잡다한 일에 생각을 두지 말아야 한다.”에서 나온 것이다. 사람의 몸은 하나의 물질에 불과해 진정한 내가 아니며 세상의 잡다한 일은 단지 명예와 이익, 정과 미움일 뿐이니 미련을 둘 가치가 없음을 말한다. 소식은 곤경 속에서 고생을 낙으로 삼았으며 절대 비관하지 않았다.
글/ 구다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