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겪은 ‘한자녀 정책’의 비극

1980년 9월 25일, 중국공산당(이하 중공)은 당원이 앞장서서 ‘한 가정에 한 아이만 낳을 수 있다’는 명령을 앞장서 집행할 것을 요구했다. 이것이 바로 폭력적이고 강제적인 산아제한의 시작으로, 참혹한 강제 낙태가 전국 곳곳에서 이어졌다. 이후 40년간 낙태로 사망한 영아 수는 약 3억 3천만 명에 달한다. 중국 5천 년 역사에 전대미문의 일이며 세계상 전례가 없다.

40년이 지난 지금, 인구 위기와 고령화의 위험에 직면한 중공은 갑자기 산아제한을 폐지하고 출산을 장려하고 있다. 중공은 인명을 장난감처럼 여기면서, 마음대로 조작하고, 멋대로 박해했다.

나는 산아제한의 비극을 똑똑히 목격했다. 1985년 가을, 나는 병에 걸려 랴오닝성 금주 부속병원의 4인실에 입원했다. 맞은편 침대에는 한 여인이 기관을 절개해 튜브를 삽입한 채 가쁜 숨을 쉬고 있었는데, 병세가 위중했다. 당시 병원 식당에 가서 밥을 사먹으려면 식량표가 있어야 했으며, 환자나 가족에게는 매번 죽 한 그릇과 꽃빵 한 개만 팔았다.

그녀의 집은 쑤이중이라는 농촌 지역이라 식량표를 얻을 수 없었다. 때문에 그녀의 남편 정(丁) 씨는 키가 180이나 되는 건장한 사람이었지만, 하루에 꽃빵 하나밖에 먹을 수 없어 배고픔을 견디기 힘들었다. 며칠 입원하면서 친해진 후 나는 그를 ‘정 오라버니’라고 불렀다. 당시 남편 회사가 병원 근처에 있어서 남편에게 매일 점심을 회사에서 쌀밥으로 도시락을 만들어 오라버니에게 드리게 했다. 오라버니는 이 도시락을 점심과 저녁 두 차례 나눠 먹으며 배고픔 문제를 해결했다.

그때 나는 양곡점에서 일했기 때문에 우리 집은 식량 문제는 없었다. 그녀의 병은 길랭-바레 증후군이라는 희귀질환이었다.

하루는 오라버니에게 물었다. “언니는 어쩌다 이 병에 걸렸어요?” 오라버니가 대답했다. “우리는 농촌에서 힘들게 농사를 지었는데, 딸만 둘 있어서 아들이 하나 있다면 나중에 힘든 일도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만 하고 있었어. 그 시절에는 둘째도 낳지 못하게 했는데 우리가 아이를 또 낳는다면 셋째였으니까. 임신한 후 헤이룽장의 언니네 집에 갔다가 10월 산달이 다 되어서야 돌아왔어. 그때 공산당에서 누가 아이를 가졌는지 신고하라고 했는데, 이웃 사람이 아내의 배가 부른 걸 보고 대대에 신고해서 대대장과 부녀 주임은 트랙터를 몰고 곧바로 우리 집으로 왔어.”

“다짜고짜 임신 9개월 된 임산부를 끌고 거리를 돌아다니며 임산부들을 두려움에 떨게 했어. 내가 애원해도 그들은 아내를 현지 병원에 끌고 가서 유산시키려 했어. 병원에서 9개월 된 태아를 사산시킬 기술이 없다고 하니 다시 금주 부속병원으로 보내졌어. 이때 담당 의사가 이미 퇴근해서 일단 산모를 먼저 입원시켰는데 다음 날 9시에 수술한다고 했어. 그런데 바로 그날 밤에 아내 혼자 아이를 낳은거야. 통통한 아들이었지. 나는 아이를 지키기 위해 밤새 아이를 고향에 돌려보냈어.”

다음 날 오라버니가 병원에 돌아왔을 때 산모는 놀람과 추위, 피로 때문에 생명이 위독했다. 아내의 병을 치료하기 위해 오라버니는 집에 있던 모든 것(가축·TV 등)을 팔아 밥값도 없었다.

나는 입원한 지 한 달도 안 되어 퇴원했다. 퇴원할 때 오라버니에게 우리 집 주소를 적어 주었고, 내가 퇴원한 후에도 남편이 열흘 동안 밥을 배달해준 후에 그들도 퇴원했다.

설 쇠기 전, 집에서 쉬고 있을 때 고개를 들어보니 대문 밖에 옷차림이 남루한 사람이 서 있어 누가 동냥하러 온 줄로만 알았다. 그때 어머니가 마침 집에 계셨는데 뭘 좀 줘서 보내라고 하셨다. 대문에 나가서 보니 바로 정 오라버니였고, 등에는 뭔가 짐을 지고 있었다. 집안으로 들어오게 한 뒤 아내와 아이는 어떠한지 물어보니, 둘 다 죽었다고 했다. 아이 할머니가 아이를 거뒀는데 5개월밖에 살지 못했다고 했다. 두 사람의 소중한 목숨이 공산당에 의해 잔인무도하게 사라진 것이다.

나는 오라버니가 설을 쇠고 가게 했다. 그해 여름 오라버니가 다시 찾아왔는데, 큰딸이 모내기하다 독사에 물려 목숨이 위태롭다고 했다. 무슨 약이 필요한데 형편이 어려워 살 돈이 없었던 것이다. 나는 약을 사서 오라버니에게 주었다. 그해 9월 우리는 아파트로 이사를 하게되어 그 후로 연락이 끊기고 말았다. 어느덧 36년이 흘렀는데, 당시 삼십 대에 불과했던 오라버니와 딸이 지금 어떻게 지내는지 모르겠다.

오라버니의 가족들이 겪은 고난을 돌이켜보니 나도 모르게 자꾸 눈물이 흐르고 가슴이 미어질 것 같다. 둘째를 절대 낳지 못하게 했던 그 시절, 나는 20대 젊은 엄마들이 소나 말처럼 불임수술을 강요당하는 것을 직접 보았다.

잔인하고 폭력적인 소위 계획출산 정책은 중국의 인구 및 남녀인구 불균형, 인구 위기와 고령화를 초래했다. 연구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 노인 인구의 4분의 1이 중국에 있다고 한다. 특히 중공은 사람 목숨과 관련된 중국 전통 이념을 뒤엎어 사회 전체가 더는 사람의 생명을 중시하지 않게 했다. 사람들은 피 흘리거나 죽는 것에 대해 매우 무감각해졌다. 더 심각한 것은 사람의 도덕을 몰락시켜 인심이 옛날과 달라진 것이다.

나는 지금 일흔이다. 우리 집도 줄곧 중공의 폭정에 시달렸다. 내가 두 살 때 아버지는 우파로 몰려 노동교양소에 보내졌고, 나도 파룬따파(法輪大法, 파룬궁)를 수련한다는 이유로 노동교양소에 수감됐다. 하늘은 중공의 만행을 좌시하지 않을 것이다. 하늘이 중공을 멸망시키는 큰 막이 이미 올랐으니, 부디 중국인들이 중공의 사악한 진면목을 직시하고 중공 조직에서 빨리 탈퇴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글/ 중국 파룬궁 수련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