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6월 5일, SMG 네트워크(중국 장기이식 검토회)와 대만 국제장기이식관리협회(TAICOT)가 공동 주최한 ‘장기이식 일본·대만 심포지엄’이 도쿄 전국정촌회관에서 열렸다. 일본·미국·대만의 전문가와 정치인들이 참석해 중국공산당(중공)이 파룬궁수련자를 대상으로 자행하는 생체 장기적출 실태를 폭로했다.
미국 의원 “매년 수만 명 파룬궁수련자 살해”
미국 연방 하원의원 크리스 스미스는 서면 연설에서 “중국에서 매년 수만 명의 평균 28세 젊은이들이 장기적출로 살해당하고 있다”며 “피해자는 위구르인과 파룬궁수련자”라고 밝혔다. 그는 “중공이 파룬궁을 공개적으로 탄압 대상으로 삼고 이들의 건강한 장기를 노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가 발의한 “‘강제 장기적출 금지법'(H.R.1503)은 지난달 미 하원에서 406대 1로 통과됐으며 현재 상원 심의 중이다. 이 법안은 강제 장기적출 관련자에게 최대 100만 달러 벌금과 20년 이하 징역을 부과한다.
DAFOH “파룬궁수련자가 주요 표적”
의사들 반(反)강제장기적출 국제기구(DAFOH) 창립자 토르스텐 트레이 박사는 18년간의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중국은 주로 파룬궁수련자 등 양심수에게서 생체로 장기를 적출하며, 연간 이식 건수는 3만~5만 건으로 추정된다.”
트레이 박사는 “2006년 이후 중공이 이 방식으로 파룬궁을 효과적으로 근절할 수 있다고 판단해 이식병원을 4배 확대했고, 대상을 위구르인 등으로 확장했다”고 증언했다.
대만, 법적 대응으로 이식관광 차단
대만은 2006년부터 중국 생체 장기적출에 대한 단계적 대응에 나섰다. 같은 해 의료진의 장기이식 중개를 전면 금지했고, 2015년 ‘인체장기이식조례’를 전면 개정했다. 새 법은 해외 이식 환자에게 장기 출처 서면자료 제출을 의무화하고, 불법 중개자와 관련 환자에게 최대 5년 징역과 5만 달러 벌금을 부과한다.
대만 의원이자 창겅기념병원 혈액종양과 주임 왕정쉬(王正旭) 박사는 “대만 감찰원이 건강보험 시스템의 면역억제제 처방 데이터를 분석해 중국 이식 환자를 효과적으로 추적하고 있다”며 “이런 조치가 대만인의 중국 이식관광을 크게 줄였다”고 설명했다.
각국 입법으로 중공 장기적출 봉쇄
트레이 박사는 각국의 입법 동향도 소개했다. 이스라엘은 2008년 중국 이식수술 보험지급을 금지해 자국민의 중국 이식관광을 완전히 차단했다. 이탈리아는 2016년 ‘생체장기매매죄’를 신설해 3~12년 징역과 의사면허 영구박탈을 규정했다.
미국은 2025년 5월 H.R.1540 법안인 ‘파룬궁 보호법’을 통과시켜 중국과의 장기이식 협력을 전면 중단하고 관련자 비자발급을 거부하기로 했다.
일본·대만 초당파 의원들의 지지
일본에서는 자민당 참의원 가타야마 가쓰키, 입헌민주당 중의원 마스다 세키오, 중의원 이시바시 린타로가 심포지엄에 참석했고, 전 중의원 나카야마 야스히데가 지지 메시지를 보냈다.
대만에서는 국회의원 린스밍, 천자오쯔, 천관옌과 대만의사협회가 축전을 보냈다.
/도쿄 지국

스위스 의원 38명, 파룬궁 박해 반대
2025년 7월, 파룬궁수련자들이 평화적으로 박해를 반대해 온 지 26주년을 맞아, 스위스 의원 38명이 영상과 서한을 보내 파룬궁수련자들이 ‘진선인(眞善忍-진실·선량·인내)’을 믿으며 오랜 세월 박해를 반대해온 것을 지지하고, 중국공산당 정권이 파룬궁 박해와 그 박해를 스위스 및 해외 다른 국가로 확대한 초국가적 탄압을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이들 38명의 의원은 연방의회 국민의회(하원) 의원 9명과 주의원·시의원 29명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스위스 로망디 지역의 제네바, 보, 뇌샤텔, 프리부르, 발레, 쥐라와 이탈리아어권 티치노 등 총 7개 주 출신이다.
/베른 지국